중국 경제 & 주식정보_(2020.6.04)
[경제관련 소식]
◆ 미국, 중국항공사 여객기의 자국 운행 금지
- 중국국제항공, 동방항공, 남방항공, 하이난항공의 여객기에 대한 미국 운항 금지 조치
◆ 미국, 중국 추가 블랙리스트 기업과 기관에 대한 제제 시작
- 중국의 신장(위구르 자치구)과 관련된 28개의 블랙리스트 기업과 기관에 대한 제제 이후 추가 거래제한
- 추가 33개의 블랙리스트는 대량살상무기와 군사 활동과 관련이 있는 24개 기업과 신장의 인권탄압과 관련이 있는 기업&기관임
※ 트럼프는 재선을 위해서, 미국 정부는 패권 유지를 위해서 경제적/정치적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중국을 공격할 것 입니다. 중국 역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미국의 공격을 받아내면서 패권에 대한 야욕을 이어나가겠지요. 이런 상황을 잘 이해하고 학습해서 우리나라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새로운 기회를 찾아 이윤을 극대화 해야 겠습니다.
◆ 중국 인민은행 75조 규모의 특수목적기구(SPV) 설립
- 소기업을 위한 대출 프로그램 : 인민은행 자금발행 > 지방은행 > 소기업 대출
- 자금지원을 받은 소기업은 고용을 유지해야 함
※ 2020년 중국 정부의 가장 큰 숙제는 '고용안정'을 통한 민생안정화에 있습니다. 이에 소기업에게 금융지원을 해주는 대신 고용을 유지해 달라고 하는 것이지요. 하지만 빠른 경기회복과 성장이 있지 않는다면 중장기적으로는 부채의 부담이 더욱 증가하고 좀비기업들이 늘어나는 최악의 악순환이 반복될 수도 있는 것을 염두해야 할 것입니다.
[기업관련 소식]
◆ '위닥터', 텐센트 계열의 온라인 헬스케어 회사, 홍콩 상장준비 중
- IPO 목표금액은 7억~8억 달러
- 중국 사용자 : 2019년 3억 8천만명 / 2020년 사용자 전망치 : 4억 9천 600만명
- 경쟁사의 약진 : 핑안 헬스케어(86% 상승) & 알리바바 헬스(114% 상승)
- 위닥터의 예상 손익분기점 : 2022년
- 제휴현황 : 중국내 2천 700여개의 병원, 24만여명의 의사, 1만 5천여개의 약국
※ 텐센트와 알리바바가 서로 다른 영역이지만 같은 온라인 플랫폼으로 비즈니스를 시작했기 때문인지 서로 확장성이 겹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과연 어떤 회사가 더 많은 시장점유율을 차지하게 될까요?
참고로 알리바바는 온라인 커머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텐센트는 온라인 SNS 플랫폼을 기반으로 성장했습니다.
◆ 'XPENG(小鹏汽车)', 중국의 전기자동차 회사, 미국 주식시장에 상장준비 중
- IPO 목표금액은 5억 달러
- 알리바바, 샤오미, 폭스콘 등 중국의 굴지의 기업들이 대거 투자한 회사
- 테슬라를 경쟁상대로 삼고, 중국정부의 전기차 보조정책에 힘입어 급성장 하는 중
※ 참고로 홈페이지 링크 걸어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