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대표기업 BAT 를 알고 시작하자!
미국에 FANG_(Facebook, Apple, Netflex, Google) 이 있다면, 중국에는 BAT_(Baidu, Alibaba, Tencent) 가 있습니다.
중국의 대표기업인 'BAT' 는 비슷한 시기에 '베이징/항저우/션전'을 기반으로 창업한 IT 대표주자들로 '포털사이트/온라인쇼핑/모바일채팅' 비즈니스를 영위하면서 시작했습니다.
그 중에서 오늘 얘기해 볼 기업인 텐센트는(Tencent) 1998년 설립되어 끊임없는 성장을 거듭하여 당당히 아시아 시가총액 1위를 달성하는 기염을 토해냈습니다. 현재는 알리바바와 정면대결 구도를 이루고 있으며, 바이두는 비즈니스 성장세가 약간 정체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텐센트(Tencent)는 어떤 기업인가?
텐센트는 1998년 마화텅(马化腾, Tony Ma)과 장즈동(张志东)이 공동창업한 회사로, 초창기 비즈니스는 메시징 프로그램인 QQ (우리나라 카카오톡) 로 시작했다. 이후 사용자가 급속도로 늘어나면서 중국 최대의 온라인 채팅 플랫폼 사업을 영위하게 되었고, 이것을 기반으로 비즈니스 확장을 시작했다. (2010년에는 세계 최초로 동시접속자 1억명을 돌파했다는 사실..)
2001년, 성장세를 타던 텐센트가 대규모 투자를 받게 됩니다. 바로 현재까지도 대주주로 있는 남아공의 내스퍼스(Naspers) 입니다. 당시 텐센트의 46.5% 의 지분을 주당 0.8HKD 원에 인수를 하게 됩니다. 참고로 잠깐이지만 2020년 텐센트의 주가는 420HKD 를 찍었습니다. (소프트뱅크가 알리바바에 투자한 것과 비슷한 케이스가 되었지요..) 참고로 내스퍼스는 2018년 2월 텐센트의 일부 지분을 팔면서 약 12조원의 현금을 확보했으며, 30%대로 지분이 낮아졌습니다.
대규모 투자를 유치한 텐센트는 본격적인 사업확장을 시작하며 덩치를 불려나갔고, 2020년 현재 아시아 시가총액 1위 기업이 되었습니다.
텐센트의 2019년 비즈니스 실적을 알아보자!
2020년 3월에 텐센트의 2019년도 실적이 공개 됐습니다.
2019년도 텐센트의 총 매출은 3,773억 위안(한화 약 65조 5천억원) 이고 영업이익이 1,114억 위안(한화 약19조 3천억원) 입니다. 텐센트는 중국 소셜 네트워크 1위 사업자이자 온라인 게임 세계 1위 업체로써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나가고 있습니다. 막대한 온라인 유저를 기반으로 광고수익도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최근에 두드러지게 성장하고 있는 분야는 핀테크와 클라우드 사업입니다. 이 두개의 사업이 현재 알리바바와 정면 대결을 펼치고 있는 분야이기도 합니다.
이렇게 폭발적인 성장을 하면서도 꾸준한 투자와 배당을 실시하고 있는데요, 20%가 넘는 매출성장과, 29% 의 영업이익률, 그리고 25% 의 순이익을 벌어 들이기 때문에 가능한 일이겠지요. 핀테크와 클라우드의 사업확장에 따라 2020년, 2021년도 꾸준한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라고 예상되고 있습니다.
텐센트의 사업영역
초대형 사용자수를 바탕으로 한 온/오프라인 통합 생태계 구축
텐센트는 오랜기간 꾸준히 중국의 온라인 사용자를 유입시키며 핵심 플랫폼 사업을 기반으로 한 다양한 사업전개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크게 분류를 해보면 "소셜네트워크 / 온라인게임 / 미디어 / 핀테크 / 클라우드 / 유틸리티 / 이커머스" 로 구분을 할 수 있겠고, 각 플랫폼 사업부마다 핵심 계열사 및 다수의 업체들과 협업을 하며 사업을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아주 간략하게만 풀어보자면 아래와 같은 사업들을 하고 있습니다.
1. 소셜네트워크 - QQ, 위쳇(Wechat), 등
: 중국 No.1 사용자 수 보유
2. 온라인게임 - 배틀그라운드, 리그오브레전드, 클레스오브로클랜, 클래시로얄, 등
: 2019년도 전세계 TOP10 인기 게임작 중 5개를 싹쓸이.
출처 : App Annie
3. 미디어 - 텐센트뉴스, 텐센트 뮤직, 텐센트라이브, 빌리빌리(Bilibili, 투자), 등
: 텐센트 뮤직은 중국 점유율 1위이고, Bilibili(숏클립) 는 미국 나스닥에 상장되어 가파른 상승세를 타고 있음.
4. 핀테크 - LiCaiTong, WeiLiDai, WeSure, 등 (아래 설명 참조)
: 온라인 결제, 대출업 및 보험업무도 영위하며 사업을 확장하고 있음.
5. 클라우드
: 지방정부의 클라우드 사업추진 및 스마트시티 진행중이며, 알리바바에 이어 중국 2위 시장점유중.
6. 유틸리티 - App store, Mobile/PC manager, 등
: 텐센트 자체 시스템 운영중.
7. 이커머스 - 징동(JD), DiDi, 메이퇀디엔핑(DianPing), eLong, 등
: 징동(JD, 온라인 쇼핑)과 메이투안디엔핑(DianPing, 배달 및 생활서비스) 모두 상장회사며 텐센트가 상당수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음.
이 밖에도 중국 중앙 국유기업 혼합소유제 개혁에 동참하여 국유기업의 지분을 인수하면서 국가사업을 수주하여 국가단위의 추진사업을 확대해 나가고 있습니다. 또한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의 지분 5% 를 인수하고, 현대자동차와 자율주행차 개발을 위한 포괄적 기술협력을 추진했으며, 중국의 메이저 3대 자동차 회사와 카쉐어링 업체를 설립하는 등 신사업에도 박차를 올리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교육, 의료, 등 사회 전반적인 사업군으로 사업을 확장하며 메가급 회사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제가 가장 주목하고 있는 텐센트의 비즈니스는 바로~!! 2017년도부터 클라우드 기술을 도입해서 운영하고 있는 샤오청쉬(XiaoChengXu, 小程序) 입니다.
텐센트 비즈니스의 최 강점은 이미 확보된 모바일 사용자 수 입니다. 클라우드의 발달로 인해 텐센트 어플리케이션 하나만 설치하면 다른 연관된 App 은 다운로드 없이도 텐센트의 클라우드를 이용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지요.
간단한 예로, 샤오청쉬(XiaoChengXu, 小程序) App 을 실행하면 텐센트의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게임, 온라인쇼핑, 음악청취, 등) 을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우리의 휴대폰 사용에 엄청난 편리함을 가져다 줄 것입니다.
1. 휴대폰이 고급사양이 아니어도 별도의 설치없이 최신 게임을 즐길 수 있고,
2. 많은 App 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용량이 크거나 고가의 핸드폰이 없어도 무제한 App 사용이 가능해 집니다.
3. 그렇다면 미래에 용량이 작은 스마트 와치(Watch)에 빔프로젝트 기능만 생긴다면 언제 어디서나 영화든 게임이든 마음껏 즐길수도 있겠네요.
텐센트의 미래는?
텐센트는 명실공히 중국의 산업 전반을 주도하는 주요 핵심기업으로 성장했습니다. 현재로써는 텐센트와 대적할 수 있는 기업은 알리바바 밖에는 없어 보입니다. 물론 알리바바가 현재까지는 여러방면에서 텐센트보다 한 발 앞서있다는 평가가 있지만 앞으로는 어떻게 상황이 변화할지 지켜보는 재미가 있겠네요.
두 기업의 주주로써 모두를 응원하며 중장기적인 변화를 즐기도록 하겠습니다.
Alibaba vs Tencent
※ 다음은 텐센트와 알리바바 두 기업의 주가입니다. (2020.04.23, 02시)
Tencent (출처 : Investing)
Alibaba (출처 : Investing)
끝.
'기업과 주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텐센트는 오늘도 열심히 달린다. (1) | 2020.05.28 |
---|---|
5월은 지켜보자.. (0) | 2020.05.04 |
알리바바(Alibaba)의 성장과정과 미래 (0) | 2020.04.28 |
귀주모태주(贵州茅台酒,600519) (0) | 2020.04.17 |
부(富)의 사이클은 아직도 돌고 있다_(feat. 10년만의 대기회) (0) | 2020.03.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