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텐센트

텐센트(Tencent), 2020.8월 하반기 소식 ◆ 텐센트·소프트뱅크가 투자한 베이커자오팡(BEKE), 뉴욕거래소 상장 첫날 87%↑ - 텐센트와 소프트뱅크가 투자한 중국의 온라인 부동산서비스업체 베이커바오팡(贝克找房) 미국 상장 첫날 87% 폭등 - 중국의 부동산 브랜드 LIANJIA(链家)의 종합 온라인 서비스 플랫폼 - 중국 전역 110개 도시에 진출해 있고 플랫폼에 등록된 중개 브랜드가 250개가 넘으며, 2019년도 12월 기준으로 MAU (월간 이용자 수)가 3천만명에 달함 - 약점으로는 수익성이 낮다는 것. 지난 3년간 매출은 증가하지만 순이익은 지속 적자중임 - 창립자 쭤후이 회장지분 28.9%, 텐센트 12.3%, 소프트뱅크 10.2%, 힐하우스캐피탈 5.3% 지분을 보유중임 ​ ※ 순이익이 지속 적자임에도 불구하고 꾸준한 투자를 받아.. 더보기
텐센트(Tencent), 2020 상반기 실적_(feat. 텐센트는 아직도 성장에 목이 마르다) 텐센트가 지난 12일에 2020년도 2분기 실적을 공시했습니다. 증권사들의 취합 자료를 보면서 간략하게 리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분기가 아닌 반기 기준으로 보도록 하겠습니다. 총 수입은 2,229.48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28% 성장했습니다. 영업이익은 732.04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31% 성장했고, 순이익은 592.04억 위안으로 작년 동기 대비 29% 성장했습니다. 정말 대단하다는 말 밖에는 할말이 없습니다.. 이렇게 규모가 큰 회사가 어마무시한 영업이익률을 내면서 지속적인 고성장을 할 수 있다는게... 인구가 많은 나라여서 가능하다고는 하지만... 참 부럽습니다. ​ 삼성증권에서 정리해놓은 텐센트의 사업군별 매출 비중은 아래와 같습니다. 온라인 게임 부분에서 호실적이 나온 것.. 더보기
텐센트(Tencent), 2020.8월 상반기 소식 [미국 트럼프, 틱톡 & 위챗 소유 중국업체와 모든 거래 금지 행정명령] 지난 8/6일,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텐센트의 위챗(WeChat)과 바이트댄스의 틱톡(TikTok)에 대한 거래금지 행정명령 했습니다. 이에, 향후 45일(9/20일) 이후부터는 미국기업은 텐센트와 바이트댄스와의 거래가 금지될 예정입니다. 그렇다면 미국은 왜 이러한 결정을 한 것일까요? 트럼프 대통령의 설명에 따르면, '미국의 안보' 때문이라고 하는데요, 과연 이러한 App들을 통해서 어느 정도의 고급정보가 중국의 기업과 정부에게 흘러들어갈지는 모르겠지만... 미국도 뭐.. 마음만 먹으면 페이스북, 구글, 마이크로소프트를 통해서 정보를 수집할 수는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다른 방향으로 생각해보면 지배정권(공산당)이 민영기.. 더보기
텐센트 7월 소식 [텐센트, 위챗에 온라인 상점 기능 추가] ​텐센트에서 위쳇에 온라인 상점을 운영할 수 있는 '위챗 미니샵' 기능을 추가했습니다. 이로써 위쳇 사용자들은 기존 어플 내에서 전자상거래 미니프로그램을 통해서 제품을 사고 팔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중요한 것은 이와 같은 행위들에 어떠한 비용도 내지 않는 다는 것이지요. 완벽하게 알리바바와 징동을 겨냥한 계획이라고 보여지고,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 궁금해 집니다. 최근 텐센트가 적극적인 몸집 불리기를 하고 있습니다. SNS에서 게임, 음악, 클라우드, 금융, IT, 자동차, 의료, 온라인 쇼핑 등 어마어마하게 사업영역을 확장해나가며 사용자들을 가두리 양식장에 가두려고 하는 움직임이 보이고 있습니다. 물론 창업주인 마화텅 회장이 중국 인민대표 뱃지를 달고 있기 .. 더보기
텐센트 6월 소식 중국 텐센트의 6월 소식입니다. ​ ​[위닥터, 7억~9억 弗 규모 홍콩 상장 계획] ​텐센트 계열의 온라인 헬스케어 플랫폼(원격의료)인 '위닥터'가 홍콩주식에 7억~9억 달러의 규모로 상장을 준비한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위닥터는 2016년 4억3천700만 위안, 2017년 6억400만 위안, 2018년 12억 위안으로 꾸준한 매출상승을 이루어 왔지만 손실도 계속 늘어나 2016년 4억8천만 위안, 2017년 6억7천4백만 위안, 2018년 8억1천800만 위안을 기록했다. 하지만 이미 앞서 증시에 상장한 원격의료 관련주인 알리바바 계열의 '알리건강'과 핑안그룹 계열의 '핑안굿닥터' 역시 만년 적자에 허덕였지만 상장 결과는 성공적이었죠. (물론 알리건강은 이번에 흑자전환에 성공했습니다.) 최근 중국에.. 더보기
중국 기업정보_(2020.6.30) [기업관련 소식] ​ ◆ 텐센트(HK 00700), 동남아판 넷플렉스(아이플릭스) 인수 - 말레이시아 비디오 스트리밍 플랫폼 '아이플릭스' 인수 확정 - 2014년 설립, 동남아시아 최대 OTT 서비스로 13개국 2,500만 명의 활성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음 - 인수가는 미공개지만 '아이플릭스' 의 기존 투자유치 금액이 3억 4,800만 달러임 - '아이플릭스' 의 2019년 호주에서 기업공개(IPO) 가치평가 금액은 약 10억 달러였음 ​ ◆ 텐센트(HK 00700), 니오자동차 2대 주주로 등극 - 자회사인 황하투자(黄河投资, Huang River Investment)를 통해 중국 전기자동차 회사인 니오자동차(蔚来汽车) 지분 인수 - 168만주(120억)를 매입하며 지분율 15.1% 확보하여 2대 주.. 더보기
중국 경제 & 주식정보_(2020.6.04) [경제관련 소식] ​ ◆ 미국, 중국항공사 여객기의 자국 운행 금지 - 중국국제항공, 동방항공, 남방항공, 하이난항공의 여객기에 대한 미국 운항 금지 조치 ◆ 미국, 중국 추가 블랙리스트 기업과 기관에 대한 제제 시작 - 중국의 신장(위구르 자치구)과 관련된 28개의 블랙리스트 기업과 기관에 대한 제제 이후 추가 거래제한 - 추가 33개의 블랙리스트는 대량살상무기와 군사 활동과 관련이 있는 24개 기업과 신장의 인권탄압과 관련이 있는 기업&기관임 ​ ※ 트럼프는 재선을 위해서, 미국 정부는 패권 유지를 위해서 경제적/정치적 모든 수단을 동원하여 중국을 공격할 것 입니다. 중국 역시 모든 방법을 동원하여 미국의 공격을 받아내면서 패권에 대한 야욕을 이어나가겠지요. 이런 상황을 잘 이해하고 학습해서 우리나라.. 더보기
텐센트는 오늘도 열심히 달린다. 텐센트, 일본 게임회사 마블러스 지분 20% (800억원) 매수 중국 최대 IT 기업이자 게임회사인 텐센트(Tencent, HK 00700)가 일본 게임회사 마블러스(Marvelous)의 지분 20%를 약 800억원의 가격을 제시하며 매수하겠다고 했다. 마블러스는 일본에서 중국 게임을 유통하고 있었고, 2019년도에는 텐센트의 인기 게임인 '스토리 오브 시즌즈(목장이야기)'를 독점 판매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었다. 이로써 텐센트는 세계 3위 게임시장인 일본을 전면적으로 공략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다는 분석이다. ​중국은 이미 게임시장에서 두각을 들어내고 있으며, 특히 텐센트는 전세계 대형 게임업체의 지분을 인수하며 덩치를 불려왔다. 특히 모바일 게임시장에서 강력한 점유율을 가지고 있는 텐센트의 입.. 더보기